목차:케네디의 안경 사라토가(by 아메리칸 옵티컬)
1부)1부링크
1.오리지날 사라토가 모델의 출시 시기
1-1)1950년대의 사라토가 모델은 제품 코드로만 불렸다.
2.사라토가란 모델명의 시작
3.사라토가란 모델명의 유래
2부)2부링크
4.케네디와 사라토가란 이름의 관계?!
5.사라토가란 이름에 숨겨진 비화
6."사라토가"에 얽힌 4가지 루머
1)부족한 빈티지 안경에 대한 지식?!이 루머의 원인?
2)1950년대 안경 디자이너란?
3) "Raymond Stegeman"은 정말 AO에서 근무 했을까?
3부)
6-4)웨이퍼어러와 사라토가의 디자인
① 웨이페어러의 출시시기, 최초의 디자인
②사라토가 의 출시 시기와 디자인적 발전 흐름
7.재발매된 사라토가:AO의 디자인 및 제조방향
7-1)AO의 디자인 및 제조방향
7-2)AO의 광학유산 박물관
8.재발매된 사라토가:공통점과 개선점
8-1)오리지날 빈티지 모델과의 공통점:미국 제조
6-4) 웨이페어러와 사라토가의 디자인
마지막으로 사라토가와 웨이페어러의 디자인적 유사성?을 주장하는,
루머는 초기형 웨이페어러 디자인의 형태를 제대로 인지 못하고,
웨이페어러는 50년대 <<>>사라토가는 60년대 출시
된 것으로 잘못 알고, 생긴 루머로 볼 수 있습니다.
① 웨이페어러의 출시시기, 최초의 디자인
레이밴의 웨이페어러 출시 시기는 저마다 조금씩 다르게 말하고 있는데,
52년 7월 디자인 특허 등록 신청>54년 디자인 특허 등록 완료
>>56년에야 실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최초 등록된 디자인에서도 수많은 수정을 거쳐 출시되었지만,
현대에 우리가 알고 있는 웨이페어러의 디자인과는 전혀 다른 모델 같은,
사라토가의 디자인과도 상당히 거리가 멀었던 게 초기 웨이페어러 모델입니다.
캣아이 스타일에서 출발된게 명확해 보이는 전체적인 프레임 디자인
자유 분방한 형태의? 렌즈 쉐입,거의 없는 듯한 엔드피스 ,
안경 다리는 와이드한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후 수많은 리뉴얼을 거쳐 현대에 우리가 알고 있는
확실하게 뻗어있는 엔드피스,정돈된 렌즈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② 사라토가 의 출시 시기와 디자인적 발전 흐름
일반적으로 디자인의 카피를 말할때 디자인의 발달 흐름을
알수 있는 유사 모델의 존재 유무와 출시 시기가 큰 영향을 끼칩니다.
하지만,이미 1952년부터 사라토가의 형제 모델이랄수 있는 디자인의 모델들을
확인할수 있고,"사라토가(CN-52)"모델의 광고는 1956년부터 확인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라토가(CN-52)"의 출시 시기는 1952년~1956년 사이로 볼수 있습니다.
(형제 모델과?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었을수도 있다고 볼수 있다.광고의 경우 더 앞선 년식으로 추측되는게 다수
있긴 하지만,발행 시기가 50년대란것만 알고 정확하게 확인안됨,명확하게 발행 년도 확인되는 광고가 56년)
결국,사라토가 모델은 웨이페어러와 같은 년도 혹은 좀 더 빨리 출시 되었을수 있고,
AO의 디자인 아카이브에서 발전한 흐름이 명확하게 보이는 고유한 디자인의 모델로,
웨이페어러와 디자인적으로나 출시 시기적으로 유사성 이슈에 얽힐 이유가 없고,
오히려 웨이페어러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사라토가를 닮는 방향으로 발전 됐다고도 볼수 있습니다.
*빈티지 사라토가를 확인해 보면,고유의 스피어-헤드(창촉)리벳,
스퀘어 쉐입의 렌즈, 명확하게 뻗어 있는 엔드피스,
볼륨감 있는 브릿지,슬림한 템플 등
웨이페어러와의 차이점은 명확하게 확인 됩니다.
7.재발매된 사라토가:AO의 디자인 및 제조방향
단순히 빈티지 사라토가와 재발매된 사라토가를 비교하기 앞서, 현재
AO에서,어떻게 제품을 디자인하고 만들고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7-1)AO의 디자인 및 제조 방향
Nico Roseillier AO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Marc Franchi 시카고 IEM 팩토리. 설계 및 제조
AO 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어떻게 될까요?
브랜드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징적인 브랜드의 제품 디자인을 하기 위해 브랜드가
가진 역사를 비롯한 모든 것들을 알 필요가 있었습니다.
다행히, 아메리칸 옵티컬의 경우 빈티지 프레임들뿐 아니라,
1833년이래 그들의 생산 시설 도면 및 제품 포장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거의 모든 역사/자료가 훌륭하게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아메리칸 옵티컬의 고향이기도 한 매사츄세츠 사우스 브릿지에 위치한 "광학 유산 박물관"의
아카이브와 큐레이터 딕 휘트니, 다이언 매턱와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도움을 받았습니다.
아메리칸 옵티컬의 제품을 설계하는 것은 클래식하고 아이코닉한 디자인을 계승
발전 시키는 포드의 "브롱코"나 랜드로버의 "디펜더"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메리칸 옵티컬의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 지고 있나요?
우리는 처음부터 아메리칸 옵티컬의 아이코닉한 스타일을
원래 디자인과 스펙(사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21 세기 제조 기술과 부픔으로 개선하기를 원했습니다.
7-2)AO의 광학 유산 박물관(Optical Heritage Museum)
1983년 6월 18일 아메리칸 옵티컬 설립 150주년 기념으로 설립된
광학 산업의 역사를 보존하는데 초점을 둔 아이웨어 박물관
아메리칸 옵티컬에선 자신들의 아카이브를 쌓아 가는것의 중요성을 알고,
1880년대부터 자신들이 생산한 제품에 대한 수집/보관을 지속해 왔습니다.
박물관 개설 시엔 아카이브에 있던 3천 점이 넘는 프레임 중 800점을 선별하여 전시하였습니다.
>단순히 과거의 프레임뿐 아니라 당시 집행된 광고/포장/도면/세부 부속품등이 포함 됩니다.
*AO의 해외 전시회에 동반으로 부스를 구성하여 빈티지 프레임을 전시 하는 등 협업 관계는 지속 되고 있다.
*국내에선 적당한 빈티지 안경을 조금모아 진열하면 박물관으로 보는 경향도 있는데,박물관에 들어가는
제품들은 훼손없이 제품의 원형을 보여줄수 있는 완벽한 상태여야 한다.헤리티지뮤지엄의 구성,진열이나
운영방식은 이후 다양한 업체나 박물관 등지에서 참고하는 표본이 된다.
8.재발매된 사라토가:공통점과 개선점(차이점)
아메리칸 옵티컬의 디렉터나 제조 담당자의 애기를 들어보면
현재 아메리칸 옵티컬이 재 발매하는 제품들은,
정밀하고 방대한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오리지날 모델의 디자인/스타일을 유지 하지만,
현대식 조정/업데이트 등이 이뤄질것 이란 점을 알수 있습니다.
아무런 변화없이 예전 디자인 그대로 제품을 만드는 게 가장 쉬운 방향일 테지만,
50년대에 출시된 제품들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상품성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 입니다.
50년대에 출시된 오리지날 사라토가 모델과 현대에 재발매된
모델은 어떤 공통점과 개선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 봅니다.
8-1)오리지날 빈티지 모델과의 공통점:미국 제조
많은분들이 간과할수 있지만,빈티지/재발매된 모델의
공통점을 찾을 때 가장 큰 가치라고 할수 있는 부분은,
오리지날 제품을 만들었던 브랜드에서 여전히
미국 생산을 통해 제품을 만들고 있단 점입니다.
90년대 전후로 대부분의 아이웨어 브랜드들은 그들의 뿌리가 어디던지,
비용절감이란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중국/일본/이태리 등지에서
OEM (위탁생산) 방식으로 안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아메리칸 옵티컬은
190년이란 역사를 갖고있는(1833),
미국을 대표하는 아이웨어 브랜드로서,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자신들의 공장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며,미국 제조의 역사/전통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다만,현재 미국에서 안경을 생산하는 브랜드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희소해진 상태기에,
안경 생산에 필요한 시트나 부품을 제작하는 생태계/네트워크 역시 대부분 소실 되어,
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원재료들은 부득이하게 해외에서 공수 할수 밖에 없습니다.
단순히 비용절감을 위해 중국에서 저가 재료나 부품을 구입해 사용 할 수도 있지만,
아메리칸 옵티컬에선 제품의 가치를 더하기 위해,소위 프리미엄 등급이라 할수
있는 원재료들을 세계 각지에서 공수하여 제품 제작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뿔테 안경의 원재료 아세테이트 시트는 이탈리아의 마츠켈리(Mazzucchelli) 를,
경첩 및 나사 같은 부품은 독일 OBE 사의 제품을 사용 합니다.
하지만,아메리칸 옵티컬에선 제품 제작에 사용되는 부차적인 재료들로 주목 받는걸 원치 않았고,
모든 원재료들을 가공하여 완성시킨 하나의 안경으로만 평가 받길 원했기 때문에 이러한
세부적인 내용들을 공개하지 않았고,일반 소비자들은 알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세계에서 최고의 부품들로 만들어 진다 정도로만 언급하고 있다.
*Mazzucchelli는 원어 들리는대로 발음하면 마주켈리 다.국내에선 제각각으로들 부르고 있다.
총 4부작으로 구성된 존 F. 케네디의 안경
사라토가 리뷰 글은 다음 4부로 이어집니다.
4부에선,오리지날 모델과 재발매된 모델간의 공통점/개선점에 대해 다룹니다.
'EYEWEAR SECTION > [EYEWEAR INFORMATION,REVIEW,NEWS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메리칸 옵티컬 빈티지 재규어/비제이클래식 재규어 리뷰 1 (2) | 2023.11.17 |
---|---|
존 F.케네디의 안경 사라토가 리뷰 by American Optical Original Vintage Saratoga Review 4/4 칼로바,코스메탄,트루컬러 렌즈 리뷰 (0) | 2023.09.18 |
존 F.케네디의 안경 사라토가 리뷰 by American Optical Original Vintage Saratoga Review 2/4 (0) | 2023.08.02 |
영화 오펜하이머 안경은 아메리칸 옵티컬의 타임즈와 토너먼트 (0) | 2023.08.02 |
존 F.케네디의 안경 사라토가 리뷰 by American Optical Original Vintage Saratoga Review 1/4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