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EAR SECTION/[EYEWEAR INFORMATION,REVIEW,NEWS TOPIC]

아메리칸 옵티컬 과 비제이클래식 재규어 리뷰 4 of 5(American Optical,BJClassic Jaguar Eyewear Review )

HELLITE 2024. 2. 5. 11:01

*제 모든 글은 PC버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띄어쓰기 단락 나누기 등이 뒤죽박죽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1부 목차- 1부 링크

2부 목차- 2부 링크

3부 목차- 3부 링크

3-5) AO 재규어 모델의 투톤 시트를 활용한 일체형 코받침

3-6) AO 재규어 모델의 리벳

3-7) AO 재규어 모델의 템플

3-8) AO 재규어 모델의 부정교합

 

위의 내용을 다룬 3부에서 이어지는 ,

아메리칸 옵티컬/BJ클래식 재규어 리뷰 4편입니다.

4부에서 빈티지 재규어 모델에 대한  리뷰가 마무리됩니다.

 

4부 목차-

3-8) AO 재규어 모델의 부정교합과 마이터 조인트(연귀맞춤)

4. 아메리칸 옵티컬 재규어를 착용했던 유명인사

5. 비제이 클래식 컬렉션 재규어 모델

5-0) 프레임의 전체적인 디자인

5-1) 비제이클래식 재규어 모델의 색상

서몬트와 재규어,과거 광고 이미지에서도 볼륨감이 느껴지는 측면 모습을 강조함을 알수 있다.

3-8) AO 재규어 모델의 부정교합과 마이터 조인트

한 가지 안경 모델에 다양한 디자인과 사이즈의 템플이 호환 사용되며, 과거

5~60년대 미국 안경이 가진 가장 큰 특징 부정교합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면부와 템플간 약한 부정교합을 확인할수 있다

 

숨겨져 있던 디테일 : 부정교합

1947년 하금테의 등장과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다양한 디자인, 사이즈의

템플 조합이 가능하게 제품들이 출시되며 시작된 부정교합이란 특징은,

 

템플과 전면부 사이 심한 유격이 드러나는 등, 교합이 너무 엉성하게 맞아,

제대로 된 파츠가 장착된 것인지 의심이 되는 상태의 프레임들이 많았습니다.

 

또한, 부정 교합이란 특징은 결국 디자인적 일체감/완성도를 떨어 뜨리고,

전면부 내측 공간을 부족하게 만들어 렌즈 쪽으로 쏠리는 리벳, 나쁜 착용감 등,

제품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전면부와 템플의 부정 교합 

실용성에 의해 생긴 외적인 불완전함의 산물이지만,

현대에는 50~60년대 프레임의 특징으로 복각되기도 하는 디테일 포인트입니다.

마이터 조인트 미적용 빈티지 프레임,교합부에서 유격을 쉽게 확인할수 있다.

 

숨겨져 있던 디테일 : 마이터 조인트(연귀 맞춤)의 적용

하지만 재규어 모델은 50년대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마이터 조인트(Miter joint)"의 적용을 통해,

현대 안경에 가까운 매끄러운 교합을 보여 줍니다.

 

다만 여전히, 하나의 프레임에 다양한 템플 조합이

이뤄졌기에, 약한 부정 교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빈티지 복각 프레임들에 많이 적용되는 부정교합이란

디테일은 마이터조인트가 적용된 약한 부정 교합입니다.

 

*전면부와 템플 디자인/사이즈의 통일로 현대에는 부정교합 이란 특징은 사라졌다.

마이터 조인트 적용 모델의 교합,부정교합 특유의 단차는 확인되나,큰 유격없이 매끄럽게 이진다.

 

숨겨져 있던 디테일 : 마이터 조인트(연귀 맞춤) 공법은?!

마이터 조인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 하단 사진과 같이 전면부와 템플 연결부의 교합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안경의 전면부와 템플 각 파츠의 양끝을 45도 각도로 깎아 내는 기법을 뜻 합니다.

 

부정교합이 특출 나게 강조되던 40년대 중후반~50년대 초반의 제품대비

교합부가 상당히 매끄럽고 자연스러워짐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단가 상승을 유발하는 추가 가공 공정이 필요하기에 ,보호경이나 

저가 프레임에선 해당 기법은 미적용되거나 도입이 늦었습니다.

 

마이터 조인트 공법은 굳이 부정 교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내지 않더라도,

 

부드러운 교합과, 안경의 벌림 각을 조절할 수 있는 특성으로,

현대 안경에는 거의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현재 뿔테 안경을 착용하신 분들은 그 존재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단 이미지는 동일 공법이 적용된 AO 맨하탄 모델) 교합부가 매끄럽게 가공 되어 있다.

 

4. 아메리칸 옵티컬 재규어를 착용했던 유명인사

아메리칸 옵티컬의 재규어를 트레이드마크처럼 착용했던 유명 인사가 있습니다.

 

"The Chief "란 별칭을 갖고 있는, 아트 루니(1901~1988)

아서 조셉 루니 시니어(Arthur Joseph Rooney Sr.)입니다.

 

 

아트 루니는, 33~88년까지 NFL(National Football League)미식축구 팀

피츠버그 스틸러스( Pittsburgh Steelers )의 창립주이자 소유주였습니다.

 

아트 루니의 삶은 피츠버그 스틸러스 팀의 역사 그 자체였습니다. 

그가 팀을 소유하고 있는 동안 슈퍼볼을 4회 우승하였고, 팀 관리의

일선에서 물러 난 뒤에도 피츠버그 스틸러스의 정신적 지주로서 자리했습니다.

 

그의 사망 이후, 그를 기리며,팀의 유니폼에 아트루니의  이름( AJR)이 새겨진 패치가 부착되기도 했다.

 

또한 그는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 회원이자 아마추어 복싱 챔피언

으로, 여러 트랙 스포츠 경기장(경마 같은)과 피츠버그 지역

프로 스포츠 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소유했었습니다.

 

화려하고 흥미로운 이력을 바탕으로 그에 관한

자서전, 연극, 영화 등이 제작되었고,

 

이들의 표지나 포스터,다양한 사진들에서

그가 시가(담배)를 입에 문채,

재규어 모델을 착용한 모습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가와 볼드한 뿔테 안경:재규어가 아트 루니의 트레이드 마크였습니다.

images via.https://www.steelers.com
자서전과 영화 포스터 속 재규어 모델을 확인할수 있다. 

5. 비제이 클래식 컬렉션 재규어 모델

 

비제이 클래식에서 오리지널 재규어 모델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전문성과 이해도를 바탕으로, 복각을 진행했는지,

오리지널 모델과 복각 모델 간의 공통점과 차별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5-1) 비제이클래식 재규어 모델의 색상

두께감 있는 프레임이 가지는 볼륨감이, 자칫

지나치게 비대한 느낌을 주지 않게 적용되었던

클리어 컬러 위주의 색상 구성이 유지되었습니다.

 

다만 셀룰로이드 소재의 색상적 특징을 돋보이게

하는 브라운 색상 2종과 현대에 선호도가 높은

옐로우 클리어 컬러가 추가되었습니다.

 

*셀룰로이드 소재는 브라운 컬러 계열의 색감에서 아세테이트와 차별성이 돋보인다.

 

-----------------------------------------------

 

아메리칸 옵티컬, 비제이클래식의 재규어

리뷰는 다음 5부에서 마무리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