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EWEAR SECTION/[EYEWEAR INFORMATION,REVIEW,NEWS TOPIC]

아메리칸 옵티컬/비제이클래식 재규어 리뷰 3 of 4(American Optical,BJ Classic Jaguar Review)

HELLITE 2023. 12. 28. 15:19

*제 모든 글은 PC버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띄어쓰기 단락 나누기 등이 뒤죽박죽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1부 목차- 1부 링크

1. 리바이벌 에디션 재규어 :슈페리어룸

2. 아메리칸 옵티컬 재규어 리뷰

2-1) 쇼피스 스타일드 프레임: 재규어

 

2부 목차- 2부 링크

2. 아메리칸 옵티컬 재규어

2-1) 쇼피스 스타일드 프레임: 재규어

2-2) 쇼피스 스타일드 프레임 컬렉션

3. 아메리칸 옵티컬 재규어(Jaguar) 모델의 특징

3-0) AO 재규어 모델의 디자인

3-1) AO 재규어 모델의 사이즈와 색상

3-2) AO 재규어 모델의 선의 표현

3-3) AO  재규어 모델의 투톤시트,클리어 색상의 적용

3-4) AO  재규어 모델의 내부 컷팅을 통한 무게 감량

 

위의 내용을 다룬 2부에서 이어지는 ,

아메리칸 옵티컬/BJ클래식 재규어 리뷰 3편입니다.

빈티지 재규어 모델에 대한 본격적인 리뷰가 이어집니다.

 

3부 목차-

3-5) AO 재규어 모델의 투톤 시트를 활용한 일체형 코받침

3-6) AO 재규어 모델의 리벳

3-7) AO 재규어 모델의 템플

3-8) AO 재규어 모델의 부정교합

아메리칸 옵티컬 서몬트와 재규어

3-4)  AO 재규어 모델의 내부 컷팅을 통한 무게 감량

일반적으로 뿔테 안경의 두께감(무게)이 커질수록

착용감은 반비례하며 나빠지는 경향이 있는데,

 

타인의 시선에 노출되는 측면부를 제외한,

보이지 않는 프레임 내부를 컷팅해

 

외적인 볼륨감은 유지하되, 무게를 감량하며 착용감을 개선시켰습니다.

타인의 시선에 보이는 측면은 볼륨감을 유지하고 보이지 않는 내측 부분에서 컷팅을 확인할수 있다.

3-5) AO 재규어 모델의 투톤 시트를 활용한 일체형 코받침

6미리 컬러 시트와 2미리 클리어 시트가 결합된

투톤시트의  구조를 활용하여,

일체형 코받침을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뿔테에서 코받침은 별도로 부착되는 파츠로, 전체적인

프레임 디자인과는 다소 동떨어져 보이며 이질감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코받침이 적용된 안경과 재규어 모델의 일체형 코받침

 

하지만, 재규어 모델은, 코받침이 필요한 부분의 시트의 높이를

조정하고 자연스럽게 가공해, 코받침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며,

 

디자인적 일체감과 완성도를 높여 주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일체형 코받침은 현대식 기준으로 월드핏 정도의 높이감

갖게 되고, 코받침이 적용되는 면적이 넓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3-6) AO 재규어 모델의 리벳

자신만을(특정모델) 위한 리벳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안경은 많지 않습니다.

 

안정적인 경첩 고정 장식 효과, 모델별 차별성 증대를 위해 사용하는

금속 리벳은 별도의 금형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이는 제조 단가 상승을 일으켜,

 

디자인적으로 호불호나 큰 특징이 없는 공용 리벳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재규어 모델은 자신만의 정체성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게 

 

일반 안경에 적용되는 리벳보다 2배 이상 크고

개성 있는,애로우 리벳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면부의 존재감 있는  리벳은, 과거 미국 원주민이 사용하던,

화살촉 화살깃 더해진 하나의 온전한  화살을 보여 주는,

 

네이티브 아메리칸 애로우(화살) 리벳

 

템플에는 창 끝, 창 촉을 형상화 한,

 

스피어헤드(Spear head) 리벳 이 적용되었습니다.

 

템플에는 스피어헤드 리벳이 자리하고 있다.

 

이 두 가지 형태의 리벳 조합은 아래의 이유로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규어는 과거 미대륙에서 가장 큰 육식 동물로서,

힘과 권력을 상징하는 동물로 숭상받아 왔습니다,

 

그리고 이  위험한 포식 동물을 사냥한 증거를 갖고 있단 것은,

 

지배 계층에겐 권력의 상징(가죽)이자,

전사 계층에겐 힘, 용맹함의 상징(발톱/이빨)이었기에,

이러한 권위를 보여주기 위해 재규어에 대한 사냥 활동이 있어 왔습니다.

 

따라서, 재규어 프레임에 적용된 창과 화살 리벳 무기 자체로서 가지는

강력하고 날카로운 이미지와 함께, 드높은 권력과 힘을 보여주기 위해

재규어를 사냥하던 원주민의 사냥 도구로서 표현 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과거 사냥에 사용되던 가장 대표적인 도구가 활과 창이다.

 

결국, 재규어 프레임은 재규어란 동물 자체가 가진 특성과 이미지를 보여주며,

셀-프레임 위의 이질적 금속 리벳 과거 인간들이 재규어에 대해

갖고 있던 환상을 소유하기 위해,  사용하던 도구였습니다.

 

> 스피어 헤드 리벳은 국내에선 다이아몬드 리벳이란 이상한 이름으로 자주 불리고 있다.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옆으로 눕히거나 하여도 형태/비율적으로 맞지 않다.

 

3-7) AO 재규어 모델의 템플

*재규어는 4가지의 템플이 공식적으로 제공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뚱한 모습의 팻 템플(뿔테)만을 가진 모델로 알려져 있는 것 과는 

달리 2종의 메탈 템플과 2종의 뿔테 템플로 구성되었고,

 

이중 뿔테 템플 2종이 주로 소비자들에게 선택받았습니다.

 

*템플의 길이는 착용자의 얼굴에 맞게 총 3~4가지 사이즈 중에 선택할 수 있었다.

재규어 핸드인그레이브 템플, 와이드콘투어 템플

 

*메탈 템플들은 와이드 콘투어 템플의 디자인을 베이스로 한다.

 

1) 좌측. 핸드인그레이브 템플 (와이드코어, 팻 템플)

볼드한 프레임이 주는 외적인 볼륨감을 극대화시키는 팻템플

지나친 부피감으로 인해 착용감에서 오는 불편함은 어쩔 수 없다.

 

2) 우측. 와이드 콘투어 템플 (AO의 스테디셀러 템플 디자인)

와이드 콘투어=넓은 윤곽선=와이드 컷 템플

외적인 볼륨감을 유지하되 더 나은 착용감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템플

>프레임의 볼드한 느낌 유지,캐쥬얼한 느낌을 강조하는 효과로 AO의 다양한 모델에 변형 적용됨

 

이렇듯, 디자인과 착용감을 고려한 템플 구성과, 시트의 컷팅을 통한 무게 감량 등은,

재규어 모델이 가진 미국식 실용주의적 디자인 철학을 간단명료하게 보여줍니다.

 

*타사의 프레임과 비교해 디자인/제조 과정에서 훨씬 더 복잡한 공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당시 미국 프레임과 결합하는 유럽식 디자인에 대해 온갖 거창한 이유를 가져다 붙이며

아는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과거에는 국가 간 교류가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이뤄졌기에,

 

국가별로 디자인 트렌드에서 차이가 있었고,

이는 완성되는 결과물에서도 큰 차이를 만들어냈다.

 

 AO에선 이미 1905년부터  영국 런던 지부를 운영하며,

유럽 시장으로 수출 판매를 진행하며,

해외 안경 시장의 흐름을 확인해오고 있었고,

이후 미국 내 생산량으로는 국제적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50년대 중반,영국에 생산시설까지 구축하며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 하였다.

 

 유로피안 디자인의 도입은 디자인의 현지화를 통한 수월한 해외 시장 공략

함께  자국 시장에선 디자인적 새로움을 보여주기 위한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3-8) AO 재규어 모델의 부정교합

한 가지 안경 모델에 다양한 디자인과 사이즈의 템플이 호환 사용되며, 과거

5~60년대 미국 안경이 가진 가장 큰 특징 부정교합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면부와 템플간 약한 부정교합을 확인할수 있다

숨겨져 있던 디테일 : 부정교합

1947년 하금테의 등장과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다양한 디자인, 사이즈의

템플 조합이 가능하게 제품들이 출시되며 시작된 부정교합이란 특징은,

 

템플과 전면부 사이 심한 유격이 드러나는 등, 교합이 너무 엉성하게 맞아,

제대로 된 파츠가 장착된 것인지 의심이 되는 상태의 프레임들이 많았습니다.

 

또한, 부정 교합이란 특징은 결국 디자인적 일체감/완성도를 떨어 뜨리고,

전면부 내측 공간을 부족하게 만들어 렌즈 쪽으로 쏠리는 리벳, 나쁜 착용감 등,

제품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전면부와 템플의 부정 교합 

실용성에 의해 생긴 외적인 불완전함의 산물이지만,

현대에는 50~60년대 프레임의 특징으로 복각되기도 하는 디테일 포인트입니다.

부정 교합의 정도는 제각각이지만,교합부에서 심한 유격을 보이는 프레임이 많다.

 

*현대에는 아넬형 안경에서 부정교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부정교합이 가진 고질적 문제:

렌즈 쪽  리벳 쏠림  현상을 해결한 브랜드와 그렇지 못한 브랜드로 제품을 구분할 수 있다.

 

----------------------------------------------------------------------------

 

아메리칸 옵티컬. BJ클래식

재규어 리뷰는 다음 4부로 이어집니다.

 

-------------------------------------------------------------------